본문 바로가기

1. 공간 탐구/Germany

(24)
독일 포츠담 | 자연주의 정원의 성지, 칼 포스터 (Kahl Foester) 정원 - 2 공간구성 위의 안내판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칼 포스터는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독일의 다년생 식물 정원사이자 식물 육종가 중 한 명이었다. 1912년부터 그는 그의 개인 주택 주변에, 포스터 가문의 묘목장 바로 옆에 전시용 정원을 조성했다. 여기서 그는 다년생 식물과 목본 식물의 다양성과, 다양한 정원 장면연출에서의 그 식물들의 사용법을 보여주었다. 포스터는 정원 구역을 개별적인 "정원 공간"으로 나누었다. 이 공간들은 다양한 원예 테마에 전념했으며, 그 외에도 각각 다른, 포스터의 "일곱 개의 계절"에 따라 분포된 개화 절정기를 보여주었다: 초봄, 봄, 늦봄, 여름, 가을, 늦가을, 그리고 겨울.1981년부터 칼 포스터 정원과 주택은 문화재 보호를 받고 있다. 2001년 포츠담 연방 정원 박람회의 ..
독일 포츠담 | 자연주의 정원의 성지, 칼 포스터 (Kahl Foester) 정원 - 1 칼 포스터(Karl Foerster, 1874–1970)는 20세기 중후반 유럽 정원양식에 큰 영향을 끼친 독일의 조경가, 식물학자, 원예가이다. 칼 포스터의 자연주의적 정원은 조경가의 성지라고 불리기도 한다. 영국과 특히 프랑스 정원양식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웅장한 규모와 칼로 벤 듯 기하학적인 형태는 자연을 지배할 수 있다는 인간의 오만함과 귀족층의 권력 과시욕으로 해석된다. 이런 정원양식에 영향을 받은 독일에서 칼 포스터는 이와 반대로 그의 디자인 철학인 식물종 자체의 모양, 색, 계절, 빛 등 각각의 자연적 성질들로 정원을 꾸몄고 이는 자연주의적 정원 (Naturalistic planting design) 이라 불리며 유럽 정원양식의 변화를 가져왔다.칼 포스터는 특히 다년생초화류 (숙근초, p..
[독일 Stuttgart] 난쟁이정원 Stuttgart의 어떤 공원인지 기억은 나지 않지만 지나가다 우연히 발견한 작은 정원이다. 독일의 Kleingarten이라는 개념이 한국에선 주말농장, 텃밭 등으로 불릴 것이다. 지자체에서 대여해주는 방식이다. 아무튼 이 난쟁이들이 늘어선 정원은 할머니가 가꾸고 계셨다. 아마 이 정원이 위치한 공원의 특징은 높은 경사를 가졌다는 것인데 그래서 마치 산을 하나 올랐더니 난쟁이마을이 있는 듯한 인상을 주었다. 이 전까진 정원 곳곳에 식재와 함께 장식이 되어 있는 장면들을 주로 보았어서 (식물도 있지만) 난쟁이들로만 가득 정원을 꾸며져 있어 탄성이 절로 나왔다. 너무 귀여워서 계속 들여다보고 싶었지만 엄연히 개인정원이라 힐끗대기만 했다. 그 모습을 보고 오빠가 할머니께 사진을 찍어도 되냐고 요청해줘서 이 사..
[독일] 함부르크, Loki-Schmidt-Garten 로키 슈미트 가든 (Botanischer Garten der Universität Hamburg, 함부크르 대학교 식물원) 우리는 밥을 먹고나서 원래 도자기 카페에 가려고 했는데 자리가 없었던 덕에 즉흥적인 우리는 넬리가 그렇게나 예쁘다고 노래를 부르던 식물원에 가기로 했다. 나의 전공이 식물에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라 나는 식물원에 갈 일이 꽤 많았다. 두둥. 그랬던 내가 오늘 정말이지 천국을 보았다. 내가 방문한 식물원, 정원, 공원을 통틀어 최상의 왕자를 차지했다. 그 이름은 바로 Loki-Schmidt-Garten (로키 슈미트 가든) 이다. 장소를 존경하는 것은 처음 경험하는 일이다. 내가 감히 줄 수 있는 가장 큰 존경의 의미를 담아서 이 정원에 대한 글을 떠오르는 대로도, 시간 순도 아닌 정원의 다양한 매력 별로 나누어 쓰려고 한다. 이렇게 쓰는 것은 어쩐지 학문적 글쓰기의 느낌이 들어 부담감이 절로 생겨나 ..
[Sponge City] Swimming Landscape, 떠다니는 경관 점점 더 뜨거워지는 온도와 점점 더 예측불가능해지는 강우량에 대한 대응은 물을 하나의 자연자원으로써 사용하는 형태로 발전되었다. 이렇게 오늘날 수자원에 대한 늘어나는 관심과 함께 습지, 항구등의 물경관의 기능도 재조명 받고 있다. 국립 생태원이 습지의 긍정적 기능을 언급한 내용에 따르면 - 습지는 지상에 존재하는 탄소의 40% 이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특히 이탄지(peatlands)와 산지습지는 중요한 탄소 흡수지 및 저장소가 된다. 지표면의 약 6%를 차지하는 습지는 거시적인 측면에서는 대기 중으로 탄소 유입을 차단하여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양을 적절히 조절해주며, 미시적 측면에서는 특정 지역의 대기온도 및 습도 등 국지적인 기후를 조절하는 기능을 지닌다. 습지의 중요성은 이 뿐만 아니다...
[Sponge City] Künzelsau의 스폰지 주차장 독일 남부의 작은 마을인 Künzelsau에서 식물다양성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도시 곳곳에선 작은 녹지들에 죽은 고목이 놓여있거나 야생화들이 매우 자유분방하게 피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작은 표지판도 함께 설치 되어있는데 "Lebensraum für die biologische Vielfalt (생물다양성을 위한 서식지)" 라고 적혀있다.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Natur nah dran (자연에 가까이)" 이다. 뿐만 아니라 입면녹화, 비오톱 네트워크 그리고 과수원 조성들이 프로젝트의 일환이라고 한다. 이 작은 도시에는 큰 강이 흐르고 있다. 그 강은 도시의 경관 조성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 비교적 새롭게 조성되어진 것으로 보이는 수변길엔 물이 많은 토양에 적합한 버드나무들이 가로수로 식..
[Germany] 독일 놀이터의 역사 | History of playgrounds in Germany 어린이들에게 "놀이"라는 것은 여가 및 휴식 활동을 촉진하는 것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일상에서 본질적인 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 도시화의 부정적인 결과로 도시안에서 어린이들의 공간은 줄어들거나 고립되어졌고 이것은 보편적인 사회 현상으로 간주된다. 도시 계획 및 건축의 분야의 초점은 성인들을 위해 향해 있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로 놀이 공간은 어른이 어린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감시할 수 있는 보호 영역으로 여겨진다. 또한, 어린이를 위한 도시 공간이 특히 자동차와 성인 중심의 공간으로 대체되고 있다. 도시의 건물은 수직으로 더 높아지고 도시는 조밀해지면서 어린이는 점차 놀이할 공간을 잃어간다. 이전의 도시공간에서는 어린이들의 놀이 공간은 경계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시간을 보낼 ..
[Germany] 독일 정원박람회의 역사 - Bundesgartenschau (BUGA, 분데스가튼샤우), Landesgartenschau (LAGA, 란데스가튼샤우) Landesgartenschau (LAGA: 라가) Bundesgartenschau (BUGA: 부가)Internationale Gartenausstellung (IGA: 이가)독일의 정원박람회는 역사가 깊다. 전시를 목적으로 조성된 정원은 이미 19세기에 시작되었다 (어쩌면 더 오래된 역사가 있을지도 모른다). 당시의 전시는 단지 자신들의 개인정원을 개방하는 형태였을지라도 이는 식용 정원에서 전시 정원으로의 변화이며 정원의 축제화 또는 행사화의 기반을 닦았다. 오늘날엔 "Landesgartenschau: 란데스가튼샤우"와 "Bundesgartenschau: 분데스가튼샤우" 이름으로 독일의 정원박람회의 역사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먼저 용어를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Bundesgartenschau (분데..